반응형

frontend 3

Submodule 구축

Submodule이란일반적으로 하나의 repository에 해당 프로젝트의 모든 내용이 포함된다. 그러나 하나의 repo로 관리하기 어려운 대형 프로젝트 역시 존재한다. 쉽게 shared library(slib)를 가져다 쓰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가령 무지성으로 slib의 내용을 싹싹 긁어다가 하나의 main repo로 병합하여 관리한다고 생각해보자.  위 경우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slib의 업데이트가 이뤄졌을 때, 버전 관리가 매우 번거롭다. (Why? main repo와 commit logs를 공유하기 때문에)main repo의 변화에 맞춰 slib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이를 사용하는 다른 모든 repo의 내용 역시 manually하게 전부 변경 해야 함. 당연히 slib의 내용..

Frontend 2025.03.11

npm package 구축 및 사용법

Package란?package: 완성된 프로그램 1. 다른 패키지의 부품으로써 사용되는 package$ var my = require('my-package'); 2. package 자체가 완제품으로써 사용되는 것$ my-package  Package의 특성1. 코드 모듈화공통된 기능을 별도의 코드베이스로 추출하여 npm 패키지로 만듦예로, 여러 레포지토리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함수나 유틸리티를 하나의 패키지로 모을 수 있음 2. 패키지 생성해당 코드를 포함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package.json 파일을 작성하여 npm 패키지로 등록할 준비 3. 배포공통 기능을 npm 레지스트리에 배포 4. 각 프로젝트에서 사용개별 프로젝트에서 이 패키지를 의존성으로 추가npm install  명령어를 사용해 패..

Frontend 2025.03.10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기술 면접 준비

프론트 개발자로서 중요하다 생각하는 것?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고민이 중요하다 생각함. 사용자가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오류 없는 비지니스 로직을 만드는 것 부터 시작해서 크게는 서비스 전반에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이슈 트레커를 추가하는 것까지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고민의 일환이라고 생각함. 요즘은 PC 이외에도 모바일 기기, iot 디바이스를 통해 웹 페이지를 접할 수 있는데 성능이 낮은 디바이스에서는 UI 변경이 쾌적하게 반영되지 못해 사용자에게 안좋은 경험을 제공하는 경우가 생길 수가 있음. 이를 퀀커런트 uI 패턴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고자 함. 퀀커런트 모드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른 화면 렌더, 컴포넌트의 지연 렌더, 로딩 화면의 유연한 구성 ..

Frontend 2024.04.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