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JavaScript - 함수

취업하고싶다! 2024. 4. 12. 17:42

JS 함수에 대해 배웠다.

 

Ch04 - 함수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으로는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이 있다.

// 함수 선언문
function hello() { }

// 함수 표현식
const hello = function () { }

 

함수 선언문의 경우 선언이 호출보다 아래 적혀있어도 에러 없이 잘 동작함

이를 '호이스팅'이라 함(함수 표현식에서는 불가능!)

hello2()

function hello2() {
    console.log("hi!")
}

 

 

반환 및 종료

return 키워드는 데이터 반환 뿐 아니라 함수 동작 멈충 기능 제공(return 다음에 코드써도 동작 x!)

function hello3() {
    return hi!!
    console.log("이 글씨는 안보여요~")
}

 

 

객체 구조 분해 할당

const users3 = {
    name: 'jioh',
    age: 25
}

// 객체 데이터 자체(name)를 매개변수 위치에서 구조 분해
function getName({name}) {
    return name
}

console.log(getName(users3))
// -> getName이 호출될 때 들어가는건 객체데이터(users3)이고 그 객체데이터를 함수가 받음.
// 근데 별도의 매개변수 이름은 지정되어있지 않고 받은 객체데이터를 구조 분해해서 name이라는 속성만 꺼내서 바로 리턴
// 훨씬 더 문법이 간단해지는 장점

// 이메일 없을 경우 기본값 지정
function getEmail({email = '이메일 존재 x'}) {
    return email
}

console.log(getEmail(users3)) // 이메일 존재 x

 

 

배열 구조 분해 할당

const fruits6 = ['apple', 'banana', 'cherry']

function getSecondItem(array) {
    return array[1]
}

console.log(getSecondItem(fruits6)) // banana

// 배열 구조 분해 실행
function getSecondItem2([, b]) {
    return b
}

console.log(getSecondItem(fruits6)) // banana

const numbers = [1,2,3,4,5,6,7]
console.log(getSecondItem(numbers)) // 2

 

 

나머지 매개변수

전개연산자 사용

// reduce - 배열데이터를 다루는 메소드

// reduce 메소드는 배열데이터의 아이템 개수만큼 콜백함수 실행

// 초기에 acc는 초기값 0. cur은 첫 데이터 1이 들어감

// 반복시에 acc에는 1이 들어가고 cur에는 2가 들어감 -> return 3

// arguments: 유사배열(배열데이터는x)- reduce 매소드 사용할 수 없음(활용도 떨어짐)

function sum3(...rest) {
    console.log(rest)
    console.log(arguments)
    return rest.reduce(function(acc, cur) {
        return acc + cur
    }, 0)
}

console.log(sum3(1,2))
console.log(sum3(1,2,3,4))

 

 

화살표 함수

function 사용하지 않고 단순하게 사용

자주쓰니까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

화살표 함수는 함수 표현(선언 x): 할당연산자를 사용하므로!

// 일반 함수
function sum4(a,b) {
    return a+b
}

console.log(sum4(1,2)) // 3

// 화살표 함수(중괄호, return 생략 가능)- 간단하게 한 줄로 작성 가능
const sum5 = (a,b) => a+b

console.log(sum5(4,5)) // 9

const a22 = () => {}
const b22 = x => {}  // 매개변수가 1개이면 () 생략 가능
const c22 = x =>  x*x
const d22 = () => {return {a:1}}
const e22 = () => {a:1} // 잘못된 식- {a:1}이 데이터인지 확인 불가능
const f22 = () => ({a:1}) // 객체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소괄호()로 묶어줘야함
const g22 = () => [1,2,3] // 배열데이터는 소괄호로 묶어줄 필요 x

 

 

즉시 실행함수(IIFE, Immediately - Invoked Function Expresssion)

const a23 = 7
const double = () => {
    console.log(a23 * 2)
}

double(a23) // ;붙여야 끝났다고 인식

// 즉시 실행
// ;붙여야 위에 코드 끝났다고 인식
;(() => {
    console.log(a23 * 2)
})()

;(() => {})()       // (F)()

// 일반함수 즉시실행 4가지
;(function () {console.log(a23 * 3)})() // (F)()
;(function () {console.log(a23 * 4)}()) // (F())
;!function () {console.log(a23 * 5)}()  // !F()
;+function () {console.log(a23 * 6)}()  // +F()

// 화살표 함수 즉시실행
// 두 번째 소괄호()로 들어가는 데이터를 즉시실행 함수 매개변수에 전달
// 전역데이터 이름을 간소화할 수 있음
// 코드의 난독화가 있음
;((a,b) => {
    console.log(a.innerWidth)
    console.log(b.body)
})(window, document)

 

 

Callback

하나의 함수 - 함수가 실행될 때 인자로 들어가는 또 다른 함수

a, b 모두 하나의 함수. a를 실행할 때 b라는 함수 자체를 인수로 넣어줌

그 함수 데이터가 callback이라는 이름의 매개변수로 들어가지고 callback은 하나의 함수데이터이므로 소괄호를 열어서 실행 가능

const a24 = callback => {
    console.log('a')
    callback()
}
const b24 = () => {
    console.log('b')
}

a24(b24) // a함수가 호출될 때 b라는 함수데이터가 인수로 들어감. b: 콜백함수
// 결과는 a 다음에 b가 출력. 
// a24 함수가 b24 함수를 콜백으로 호출하기 때문에 'a'가 먼저 출력되고, 
// 그 후에 b24 함수가 호출되어 'b'가 출력되기 때문.

다른 예시

const sum6 = (a,b,c) => {
    setTimeout(() => {
        c(a+b)
    }, 1000)
}

sum6(1,2, value => {
    console.log(value)
})

// sum6함수가 호출될 때 첫 번째, 두번째 인수는 숫자데이터가 들어감(1,2는 a,b라는 매개변수가 받음)
// 세 번째 임수로는 하나의 함수데이터가 들어감. 그것을 c라는 매개변수가 받음
// sum6함수 내의 setTimeout함수를 통해 1초 뒤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
// c라는 함수는 sum6가 호출될 때 만들어진 3번째 인수에 해당하는 함수이므로 a+b를 value라는 매개변수로 받아 출력

 

 

재귀

자기 자신을 내부에서 호출

기본적으로 무한동작하므로 멈추는 코드 필요

let i = 0
const a25 = () => {
    console.log('aaa')
    i += 1
    if (i < 4) {
    a25()
    }
}
a25()

 

 

호출 스케줄링

2초 내에 h1 태그를 클릭하면 함수 종료. 클릭하지 않으면 함수 실행

// setTimeout: 2초뒤에 helloo 함수 실행
const helloo = () => {
    console.log('hello~~')
}

const timeout = setTimeout(helloo, 2000)
const h1El = document.querySelector('h1')
h1El.addEventListener('click', () => {
    console.log("clear!")
    clearTimeout(timeout)
})

// setIntetval: 2초마다 helloo 함수 실행
const timeout1 = setInterval(helloo, 2000)
const h1E12 = document.querySelector('h1')
h1E12.addEventListener('click', () => {
    console.log("clear!~~")
    clearInterval(timeout)
})

 

 

this

일반 함수의 this: 호출 위치에서 정의

화살표 함수의 this: 자신이 선언된 함수(렉시컬) 범위에서 정의

const userss = {
    firstName: "hero",
    lastName: "iam",
    age: 85,
    getFullName: function() {
        this.firstName
        this.lastName
        return `${this.firstName} ${this.lastName}`
    }
}

console.log(userss.getFullName())

function userss2() {
    this.firstName = "neo"
    this.lastName =  "you"
    
    return {
        firstName: "hero",
        lastName: "iam",
        age: 85,
        getFullName: () => {
            return `${this.firstName} ${this.lastName}` // neo you
        }
    }
}

const u1 = userss2()
console.log(u1.getFullName())

 

 

메소드

하나의 객체데이터에서 특정한 속성에 함수를 할당하면 속성을 메소드라 함

속성과 메소드를 묶어서 멤버라고도 함!!

function userss3() {
    // 속성 부분
    this.firstName = "neo"
    this.lastName =  "you"
    return {
        firstName: "hero",
        lastName: "iam",
        age: 85,
        // getFullName: 속성이긴하지만 할당데이터가 함수데이터.
        //  -> 속성이 아닌 메소드라 부름
        // getFullName: function() 대신 getFullName()만 쓰는 것도 가능
        getFullName() {
            return `${this.firstName} ${this.lastName}` // hero iam
        }
    }
}

const lewis = {
    firstName: 'Lewis',
    lastName: 'Yang'
}

const u2 = userss3()
console.log(u2.getFullName())    // hero iam

// lewis라는 객체데이터는 u2라는 객체가 가지고있는 getFullName메소드를 빌려서 call할 수 있음
console.log(u2.getFullName.call(lewis)) // Lewis Yang

 

 

일반함수와 화살표함수 비교

// 일반 함수
const timer = {
    title: 'TIMER',
    // timeout은 함수데이터가 할당되므로 속성x, 메소드
    timeout: function() {
        console.log(this.title)
        // setTimeout: 몇초뒤에 함수 실행시킴
        // 일반함수에서의 this: 호출위치에서 정의
        // setTimeout 내부에서 호출. 우리는 this가 뭔지 모름
        // 함수 내부에서 또 다른 함수가 들어있는 구조면 일반 함수보다 화살표 함수 쓰는 것이 더 적합함
        setTimeout(function() {
            console.log(this.title) // undefined
        }, 1000)
    }
}

timer.timeout()

// 화살표 함수
const timer2 = {
    title: 'TIMER',
    timeout() {
        console.log(this.title)
        setTimeout( () => {
            console.log(this.title) // TIMER
        }, 1000)
    }
}

timer2.timeout()

 

화살표 함수에 대해 처음 배워봤는데 생각보다 유용한 것 같아서 앞으로 화살표 함수를 많이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callback과 일반함수와 화살표함수에서의 this 개념은 아직까진 좀 어려운 것 같아서 복습을 많이 해봐야 확실히 이해가 될 것 같다.